top of page

Issue 03

2024/25.WINTER

솔리스텐앙상블 칼라이도스코프 베를린의 지원 구조

: 독일 문화예술 지원 체계의 한계와 과제

글. Boram Lie

솔리스트 앙상블 칼라이도스코프 Solistenensemble Kaleidoskop는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혁신적인 음악 퍼포먼스 그룹이다. 2006년 창단 이후, 클래식과 실험적 음악극의 경계를 허물며, 국제적인 예술가들과 협업해 새로운 공연 형식을 창조하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 기획과 장기적인 제작 과정을 고려할 때, 보다 안정적인 4년 개념 지원이 필수적이다. [편집자 주]

solistenensemble-kaleidoskop-2020-_-c-sonja-muller_출처_칼라이스코프 홈페이지.jpg

칼라이도스코프 앙상블은 실험적인 음악극의 새로운 형태를 개발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다양한 장르의 국제 예술가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혁신적인 형식을 창조하고, 음악을 현대적인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앙상블 구성원들은 단순한 연주자를 넘어 음악적 퍼포머이자 공동 창작자로 활동하며, 협업을 통해 새로운 무대 예술을 선보이고 있다. 칼라이도스코프는 2006년 베를린에서 창단한 이래, 현대 음악과 공연계의 핵심 주자로 성장했다. 클래식 음악과 실험적인 음악극, 퍼포먼스의 경계를 확장하며 베를린의 문화 예술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칼라이도스코프는 실내악 앙상블뿐 아니라 무용, 연극, 시각 예술, 전자음악을 실험하는 예술적 집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베를린에서는 정기적으로 자체 제작 작품을 발표하는 래디얼시스템 Radialsystem과 같은 대표적인 공연장인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조직과 운영 방식

솔리스트 앙상블 칼라이도스코프는 유기적 운영 구조로 20년 넘게 활동해 온 단체이다. 사무실 및 보관 창고 등 기반 시설을 갖추고 직원 및 프리랜서들과 지속적으로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칼라이도스코프 앙상블은 12명의 연주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조합으로 함께 연주하며 공연을 만들어간다. 공연을 위해 다른 분야의 예술가들과 협업을 진행하며, 작품에 따라 적합한 연습실을 대관하여 제작을 진행한다. 베를린에서는 다양한 공연장과 협력하며, 특히 앞서 언급한 래디얼시스템과는 2009년부터 지속적인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2024년까지 6명의 상근 직원이 프로젝트의 기획, 실행 및 운영을 책임졌다. 앙상블 단원이자 퍼포머이기도 한 보람 리 Boram Lie가 예술감독으로, 볼커 호만 Volker Hormann이 공동 예술감독이자 매니지먼트 담당으로 활동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재무 운영, 제작 관리, 홍보/커뮤니케이션, 재무관리/행정 담당 직책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일부 직책의 급여는 기본 지원금으로만 부분적으로 지급되고 있다. 예술감독, 제작 관리, 홍보/커뮤니케이션 직책은 프로젝트 펀딩을 통해 충당하기 때문에 계획 수립이 어렵다. 프로젝트 펀딩이 비교적 단기간에 실현되지 않거나 예상보다 낮은 수준으로 지원될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칼라이도스코프는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독일 전역과 해외에서 투어 공연을 진행하며 2013년부터 연평균 30~40회의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칼라이도스코프는 창작자와 스태프를 꾸준히 고용해 일자리를 창출하며, 창작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재정 구조와 지원 형태

칼라이도스코프는 현대 음악과 여러 분야가 함께 협력하는 다학제적 프로젝트 분야에서 특히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통해 특화된 기관과 프로그램으로부터 기금을 지원받기도 한다. 자금 지원 구조는 프로젝트와 시즌에 따라 유동적이다. 칼라이도스코프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을 받고 있다. 자금은 공공 및 민간 자금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기관 차원의 지원과 프로젝트 기반 지원을 포함한다. 앙상블 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여러 지원 형태가 존재한다. 

1. 공공 자금: 여기에는 독일 연방 문화미디어부(BKM), 주 문화부 또는 클래식 음악 및 현대 작곡 분야의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도시와 같은 국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금이 포함된다. 독일 음악 위원회나 예술 재단(예: 독일 연방 문화 재단)의 자금 지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 개인 후원자 및 재단: 많은 경우 앙상블은 문화 프로젝트 및 활동을 촉진하는 데 전념하는 민간 후원자나 음악 재단의 지원을 받기도 한다. 여기에는 특히 음악과 예술에 중점을 두는 재단이나 문화 및 교육 사업을 지원하는 대기업이 포함된다.
3. 프로젝트 관련 자금 지원: 특정 콘서트, 페스티벌 또는 협업을 위해 앙상블은 종종 프로젝트 관련 지원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유형의 자금은 혁신적인 음악 공연에 관심이 있는 문화 기관, 페스티벌 또는 기타 단체에서 받을 수 있다.

지원 체계의 한계와 과제 

앙상블은 프로젝트의 실제 예술적 작업에 필요한 자금을 외부에 의존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에 반복적으로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예술적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음악극 분야와 앙상블의 규모, 그리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계획이 복잡한 작품의 경우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 파트너들이 함께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기본 지원금이나 개별 프로젝트 지원금의 현재 지원 기간을 넘어서는 사전 계획이 필요하다. 페스티벌이나 오페라하우스 같은 음악극 분야의 대형 제작 파트너와의 기획 준비 기간은 보통 2~3년 이상이다.
앙상블은 여기서 상당한 기획적, 재정적 위험을 반복적으로 감수하며, 프로덕션의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전에 많은 약속과 의무를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26년과 2027년 프로젝트를 위해 칼라이도스코프는 이미 관련 예술가들과의 집중적인 기획 논의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기관 파트너들과도 대화를 나누고 있다. 어떠한 확실성도 없는 상황에서, 그들은 이미 일정, 기간, 인력, 공간 등을 ‘선 예약’하고 공동 제작 파트너들과의 약속을 미리 설정하는 일을 해 나가고 있다. 이것은 이러한 규모의 제작에서는 일상적인 작업이다. 

솔리스트 앙상블 칼라이도스코프가 지속적으로 창작 활동을 이어가고, 높은 수준의 예술적 완성도를 유지하고 장기적인 안정선을 갖춘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집중적인 제작 및 투어 일정의 부담을 견딜 수 있는 강한 팀과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려면, 칼라이도스코프는 4년간의 콘셉트 지원(Konzeptförderung)이 필수적이다. 이 지원금은 조직 운영을 뒷받침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외부 자금 조달이나 공동 제작 파트너에 대한 의존 없이, 매년 안정적인 예술 프로젝트를 보장받을 수 있다.
베를린 주 정부의 지원 구조에는 4년 단위의 콘셉트 지원 외에도 단체 또는 개인 예술가를 위한 2년 단위의 기본 지원과 제작 장소 지원도 포함되어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독립 예술계의 활동가들에게 더 긴 기획 기간을 제공하고, 그들의 프로젝트를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킬 기회를 제공한다. 

boram2_edited.jpg
boramlie_edited.jpg

​글. Boram lie

베를린예술대학교(UdK Berlin)에서 Wolfgang Boettcher, Jens-Peter Maintz와 함께 첼로를 전공했다. 솔리스텐앙상블 칼라이도스코프(Solistenensemble Kaleidoskop)의 창립 멤버이자 2019년부터 아티스틱 디렉터를 맡고 있다. 

bottom of page